레이블이 자격증 시험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자격증 시험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년 2월 1일 토요일

기계설계산업기사 필기 최단기 합격! 과목별 공부 전략과 최신 요약집

기계설계산업기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필기시험 벼락치기 필승 전략 공부법에 대해서 정리하였으며, 과목별 시험 난이도와 암기량에 대해서 알아보고 최소 합격 기준에 맞춰 과목별 중요 요약집으로 벼락치기 시험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기계설계산업기사 필기시험 과목은 22년도를 기준으로 기계제도, 기계요소설계, 기계재료 및 측정으로 3과목 총 60문항으로 개편되었습니다.


기계설계산업기사 자격증 필기 벼락치기 공부 전략

( 아래 제목 클릭 시 글 위치로 이동 )

  1. 과목별 요약집
  2. 과목별 난이도와 암기량
  3. 과목별 공부법(합격 전략)
  4. 지난년도 기출문제


과목 당 20문항으로 3과목 총 60문항.
과목 당 40점 미만일 경우 과락이며, 과락이 없이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으로 모든 과목에서 12문제 이상은 맞춰야 안정적으로 합격함.
- 필기시험 합격 기준 -




과목별 요약집

기존 4과목(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기계제도, 기계설계 및 기계재료, 컴퓨터응용설계) 80문항이었지만, 2022년부터 치공구설계산업기사와 통합되면서 3과목(기계제도, 기계요소설계, 기계재료 및 측정) 60문항으로 개편되었습니다.

개편되면서 과목이 바뀐 것 같지만 전과 비교하여 각 과목의 문제 유형은 크게 달라진 것은 없으며, 오히려 문제수가 줄어드는 바람에 점수 획득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목차로 되돌아가기")



과목별 난이도와 암기량

과목별로 문제의 유형이 이론 계산 문제가 아닌 이해와 암기에 따른 서술형 객관식 문제로 필기시험의 회차에 따른 형별의 구분으로 다소 쉽거나 어려울 수 있습니다.

기계설계산업기사 필기 과목별 학습 난이도 비교

기계제도 : 실기시험의 연장 과목.
투상도의 이해, 선의 굵기와 종류, 기계요소 제도법, 제도 기호와 표기법(끼워맞춤공차, 기하공차, 표면거칠기 등)

기계요소설계 : 가장 어려운 과목으로 과락의 원흉.
기계요소(동력전달, 치공구, 체결 등)의 설계 이론, 표면처리, 지그 설계 이론

기계재료 및 측정 : 암기가 많은 과목.
재료의 특성과 재질의 파악(금속, 비금속, Fe c 상태도), 가공법, 열처리, 측정기의 종류와 사용법, 측정 오차
("목차로 되돌아가기")



과목별 공부법(합격 전략)

출제 기준이 바뀌는 바람에 22년도 이전 기출문제의 유형은 참고는 되겠지만 크게 도움이 되는 것 같지 않으며, 과목에 맞춰 이론 암기 위주의 공부가 필요합니다.


“4지 택일형 개관식 문제로 찍는 것도 실력”


필기시험 합격 전략은 전공자와 비전공자로 나누어지는데 전문학사 이상의 과정을 밟은 전공자의 경우는 기계요소설계와 기계제도 과목을 각 16문제로 80점에 맞추고 암기가 많은 기계재료는 최소 8문제로 40점 이상을 맞춰 과락을 피하여 합격 전략을 세웁니다.

(80+80+40)÷3=66점
- 전공자 기준 -


비전공자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이론의 베이스가 부족하기 때문에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별도의 교육기관을 통해 기초 교육을 이수했을 경우 암기 위주로 기계제도는 18문제를 맞춰 90점 이상, 기계재료 및 측정은 14문항을 맞춰 70점 이상, 가장 어려운 기계요소설계는 8문항을 맞춰 40점으로 과락을 넘는 합력 전략을 세웁니다.

(90+70+40)÷3=66점
- 비전공자 기준 -


전문대학에서 기계학과 또는 설계학과를 전공하였다면 기계요소설계 과목은 비교적 쉬울 수 있습니다.


기계요소설계 과목은 기초 이론이 탄탄한 상태에서 조금만 공부하면 다른 두 과목보다 고득점을 노릴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시험 문제의 유형을 파악하고 문제 별로 응용 풀이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목차로 되돌아가기")



지난년도 기출문제

시험 응시 방식이 시험지와 답지(OMR 카드)로 구성된 서면 응시 방식에서 컴퓨터를 활용한 온라인 응시 방식으로 바뀌면서 기출문제를 찾기가 여간 아니게 힘든 일이 되어 버렸습니다.


("목차로 되돌아가기")



글을 마치며,

기계설계산업기사 자격증의 최종 합격률은 약 30%로 정도로 전공자도 공부를 안 하고는 쉽게 합격할 수 있는 시험은 아닙니다.


그리고 합격률에 상관없이 매년 응시자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 조금 아쉽지만 과락이라는 함정을 피하고 최소 합격 점수에 맞춰서 조금만 노력하여 공부한다면 어려움 없이 합격을 할 수 있다고 믿고 있기에 응시하시는 모든 분들이 합격하는 그날까지 응원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