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2일 일요일

기계설계 도면 제도의 축과 구멍의 끼워맞춤 공차표

기계설계에서 축과 구멍의 끼워맞춤은 기계의 성능과 수명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정밀한 끼워맞춤을 위해 공차는 필수적이며, 이는 설계 도면에서 명확히 규정되어야 합니다. 본 글에서는 기계설계 제도 규격에 따른 축과 구멍의 끼워맞춤 공차표를 활용하여, 실제 설계에 적용할 수 있으며, 공차의 종류, 등급, 그리고 선택 방법에 대한 이해를 통해 설계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드리려 합니다.


영문자를 활용하여 공차 범위를 표시
(위치수 허용차 / 아래치수 허용차)
- 공차역(치수공차) -


구멍과 축의 끼워맞춤 공차표

( 아래 제목 클릭 시 글 위치로 이동 )

  1. 축의 끼워맞춤 공차표
  2. 구멍의 끼워맞춤 공차표
  3. 공차의 표기법과 끼워맞춤 종류


“구멍과 축의 결합 시 끼워맞춤 공차의 선택 기준은?”



축의 끼워맞춤 공차표

축의 끼워맞춤 공차표
축의 끼워맞춤 공차표

("목차로 되돌아가기")



구멍의 끼워맞춤 공차표

구멍의 끼워맞춤 공차표
구멍의 끼워맞춤 공차표

("목차로 되돌아가기")



공차의 표기법과 끼워맞춤 종류

축과 구멍의 조립 상태에 따른 끼워맞춤 종류의 선택은 하기 그림과 같이 표기할 수 있습니다.

축 : 영문 소문자를 활용하여 외측 직경 치수를 표기

구멍 : 영문 대문자를 활용하여 내측 직경 치수를 표기

축과 구멍의 끼워맞춤 공차 기입법 설명

구멍과 축의 기준치수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수(최대) 허용 공차와 아래치수(최소) 허용 공차를 하기 그림과 같이 표기할 수 있습니다.

("목차로 되돌아가기")


글을 마치며,

기계 부품의 도면제도 시 치수공차를 표기하기 위한 구멍과 축의 끼워맞춤 공차 기입법과 공차표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조금이나마 실무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겠습니다.

Related Posts